東洋 古典 한마디 43. 孟武伯이 問 子路仁乎잇가 子曰 不知也로라
맹무백이 “자로는 인합니까?”하고 묻자, 공자께서 “알지 못하겠다”하고 대답하셨다. 자로는 仁에 있어 하루에 한 번이나 1개월에 한 번 이르는 자이니, 혹은 있기도 하고 혹은 없기도 하여 그 유무를 알 수 없으므로 “알지 못하겠다”라고 말씀하신 것이다.
문무백이 다시 묻자, 공자께서 대답하셨다. “由야는 천승(千乘)의 나라에 그 軍政을 다스리게 할 수 있거니와, 그가 인한지는 알지 못하겠다.”
부(賦)는 兵(軍)이다. 옛날에는 토지의 세금을 따져 군사를 냈으므로, 軍을 일러 賦라 했으니 <춘추전>에 이른바 “우리나라의 軍을 모두 모았다”는 것이 이것이다. 자로의 재주는 볼 수 있는 것이 이와 같을 뿐이며, 인한지는 알지 못하겠다고 말씀한 것이다.
“求(염유冉有)는 어떻습니까?” 하고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. 구는 千室(千戶)의 큰 읍과 백승(경대부)의 집안에 재상(宰)이 되게 할 수 있거니와 그가 仁 한지는 알지 못하겠다“
”赤(적)은 어떻습니까? “하고 묻자, 공자께서 말씀하셨다. “赤은 예복을 입고 띠를 띠고서 조정에 서서 빈객을 맞아 대화를 나누게 할 수 있거니와 그가 인한지는 알지 못하겠다.” 赤은 공자의 제자로 姓은 公西이고 字는 子華이다.
♠ 맹무백이 공자께 함께 수학하고 있는 제자 가운데 子路, 由, 冉有, 子華에 대해 仁함을 질문했는데 공자께서 정치력을 염두에 두시고 그들을 평가하신 내용이다. 맹무백은 仁으로 판단하지는 못했으나 그들의 영도력을 비교할 수 있었으리라. 제자들의 자질을 평가해 주셨으니 역시 위대한 교육자로서 세계 四大 聖人의 한 분이시다.
맹무백이 “자로는 인합니까?”하고 묻자, 공자께서 “알지 못하겠다”하고 대답하셨다. 자로는 仁에 있어 하루에 한 번이나 1개월에 한 번 이르는 자이니, 혹은 있기도 하고 혹은 없기도 하여 그 유무를 알 수 없으므로 “알지 못하겠다”라고 말씀하신 것이다.
문무백이 다시 묻자, 공자께서 대답하셨다. “由야는 천승(千乘)의 나라에 그 軍政을 다스리게 할 수 있거니와, 그가 인한지는 알지 못하겠다.”
부(賦)는 兵(軍)이다. 옛날에는 토지의 세금을 따져 군사를 냈으므로, 軍을 일러 賦라 했으니 <춘추전>에 이른바 “우리나라의 軍을 모두 모았다”는 것이 이것이다. 자로의 재주는 볼 수 있는 것이 이와 같을 뿐이며, 인한지는 알지 못하겠다고 말씀한 것이다.
“求(염유冉有)는 어떻습니까?” 하고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. 구는 千室(千戶)의 큰 읍과 백승(경대부)의 집안에 재상(宰)이 되게 할 수 있거니와 그가 仁 한지는 알지 못하겠다“
”赤(적)은 어떻습니까? “하고 묻자, 공자께서 말씀하셨다. “赤은 예복을 입고 띠를 띠고서 조정에 서서 빈객을 맞아 대화를 나누게 할 수 있거니와 그가 인한지는 알지 못하겠다.” 赤은 공자의 제자로 姓은 公西이고 字는 子華이다.
♠ 맹무백이 공자께 함께 수학하고 있는 제자 가운데 子路, 由, 冉有, 子華에 대해 仁함을 질문했는데 공자께서 정치력을 염두에 두시고 그들을 평가하신 내용이다. 맹무백은 仁으로 판단하지는 못했으나 그들의 영도력을 비교할 수 있었으리라. 제자들의 자질을 평가해 주셨으니 역시 위대한 교육자로서 세계 四大 聖人의 한 분이시다.